본문 바로가기
이로의 글/잡담

[잡담] 개인이 작성한 주상복합 아파트의 장단점.

by EEZA 2020. 7. 21.
반응형

오늘은 주상복합 아파트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주) 해당 이미지들은 주상복합 아파트의 장단점과는 아무런 연관이 없습니다.

 

울산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은 번영로 코아루 더 클래식 주상복합아파트

 

결혼 후 아파트란 주거환경을 처음 경험해보았습니다.

 

그리고 4년 동안 살면서 나름 장단점을 생각하였고, 지금 현재는 주상복합 아파트에서 3년 차 생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주상복합도 결국은 주거용 부분은 아파트에 불과합니다.

 

주상복합 아파트의 장점

 

1) 아파트 대비 주차공간이 넓다.

 

제가 사는 아파트 기준 약 1:1.08정도 공간이 확보되는 신축 주상복합 아파트입니다. 여기에 오피스텔도 1:1로 주차공간을 제공해주는데, 상가 주차장까지 포함하면 야간조차 주차할 공간이 너무 넓습니다. 새벽 1~2시에 들어와도 최소 20자리 이상 남고 이중주차는 한 번도 보지 못했습니다.

 

2) 아파트 대비 소음에 강하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는 벽식이고 주상복합은 기둥식으로 건설된다고 알려져 있어서 소음에 강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 거주자로서 다른건 모르겠고, 층간소음이 작은 건 사실입니다.

 

① 전에 살던 아파트는 복도식이 아님에도 안방화장실에서 윗집 물 내리는 소리 하며, 세탁기 물 내려가는 소리, 심지어 소리치는 소리까지 들렸습니다. 주상복합은 위층에 사람이 사는지 안 사는지 모릅니다. 

 

② 전에 살던 아파트는 벽체에 무슨 구멍이라도 뚫으면 진동이 고스란히 전달되곤 했는데, 거의 없습니다.

 

③ 발소리는 조금 나는 편입니다. 100% 없어지진 않고 아파트 대비 해서 30% 수준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쿵쿵거리며 울리는 진동이 느껴지지 않습니다.

 

3) 가격이 싸다.

 

동일한 위치 및 평수 아파트 대비 1억가량 쌉니다. 저렴한 가격에 최고의 위치를 누릴 수 있습니다.

대부분 주상복합은 번화가에 생기는걸 생각해보면 문화생활&음주&쇼핑에는 최고의 입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4) 편의시설이 가까이 있다.

 

같은 건물에 상가가 붙어있다보니 대부분의 맛집과 편의시설 등이 다 일체화되어 살기 좋습니다.

 

 

주상복합 아파트의 단점

 

1) 편의시설 부족

아무래도 주상복합은 단지 내 정원이나, 시설이 없다 보니 놀이터 공간도 좁고 협소하며 단지가 그리 큰 편이 아닌 경우가 대부분이라 편의시설이 많이 미흡하거나 부족한 편입니다. (옛날 아파트 생각하시면 됩니다.)

 

2) 주차장 진입로가 복잡하다.

상가 이용객들과 아파트 입주민이 동일한 진입로 사용으로 인한 진입로가 복잡한 게 가장 큰 문제이나 상가 주차장 주 활용시간과 입주민들의 평균 입&출차 시간이 상이한 관계로 그리 큰 불편은 아닙니다.

 

3) 시세 형성의 어려움

아파트대비 시세가 낮아 살 땐 좋아도 팔 땐 안 좋습니다.

 

4) 구조가 이상한 경우가 많음

일반 아파트의 구조와는 다르게 주상복합 아파트는 대부분 방이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이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5) 층간소음 외 소음문제

대부분의 주상복합 아파트는 번화가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아 도로에 소방차나 구급차가 자주 다니고, 출퇴근시간에 많은 차량으로 인해 분비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부분이 조금 불편합니다. 하지만 전에 살던 아파트도 마음 놓고 창문을 열어 놓진 못했습니다. 아파트 진입로에서 빵빵~으로 문을 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주상복합 아파트의 오해

 

1) 주상복합 아파트 관리비가 비싸다?

 

이건 아무래도 대형 평수 주상복합 아파트로 인해 생긴 오해입니다.

같은 층수에 같은 공간을 활용하여 건설된 대형평수 주상복합(50~60평대)은 아무래도 세대수가 작음과 평수가 많다 보니 관리비가 비쌉니다만, 중소형평수(29~35평대)의 주상복합은 세대수도 많다보니 실제 일반 아파트와 관리비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이상으로 주상복합의 장단점을 알려드렸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댓글 달아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