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ELPCOM

[TIP] 노트북 배터리 용량, 배터리 용량 보는법, 6셀 배터리, 4셀 배터리, 노트북 배터리 시간

by EEZA 2019. 11. 26.
반응형

노트북 구매 시 중요 고려사항 중 한 가지인 배터리.

 

노트북 배터리는 종류도 다양하고 용량도 다양해 정확히 얼마인지 가늠하기가 어렵습니다. 손쉽게 1~10등급까지해서 급수뿐만 아니라 모형도 표준화를 해놓는다면 만드는 입장이나 구매하는 입장에서도 편하겠지만 좀처럼 그러질 않습니다.

 

노트북 고르기 만큼이나 어려웠던 노트북 베터리 용량 보는 법! 제가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오늘의 교재 P420 배터리!>

 

요즘 디아블로 3을 열심히 돌리고 있는 제 노트북 P420에 들어가는 배터리를 교재로 삼고 설명드리겠습니다.

 

<P420 배터리입니다>

 

P420의 배터리는 6 cell 배터리입니다. cell은 일종의 건전지 개념으로 보통 3.7V의 전압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펙상에 11.1V 4.4Ah라고 되어있고 아래쪽으로는 3 Serial-2 Parallel이란 문구가 보입니다. 3개의 cell은 직렬연결하고 직렬연결된 cell 2개를 병렬연결했다는 표현입니다. 11.1V는 3, 7V가 3개의 직렬 연결로 인해 전압이 올라간 거고 4.4Ah는 2.2Ah의 병렬 연결로 인해 전류량이 2배가 된 겁니다.

 

<P420 배터리는 6 Cell 이런 구조를 가졌다고 보시면 됩니다.>

 

11.1V는 전압의 세기입니다.
4.4Ah는 전류량을 나타냅니다.

 

11.1V = 3.7V + 3.7V + 3.7V
4.4Ah = 2.2Ah + 2.2Ah

(여기서 4.4Ah가 2.2Ah 2개가 합쳐진 값이라 되는 건 위와 같은 연결구조이기 때문에 각 셀은 3.7V 2.2Ah가 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전력량은 어떻게 될까요?

11.1V * 4.4Ah = 48.84Wh

4.4Ah = 4400mAh입니다.

 

참고: 보통 배터리는 3.7V에 2200mAh ~ 2600mAh로 구성된 cell을 사용합니다.

 

응용으로 ACER Aspire one AO756라는 모델은 4 cell 배터리에 전류가 2.5Ah인데 4개의 셀을 직렬연결했습니다.

 

3.7V X 4 = 14.8V 
14.8V X 2.5Ah = 37Wh

 

결국 노트북 배터리는 몇 cell 인가도 중요하지만 전류가 몇 Ah 인가도 중요합니다.

 

이해하기 어려우시죠? 좀 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초등학교 때 했던 전구 실험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전구로 알아보는 전기 상식 1. 건전지 1개와 전구 1개를 켜면 밝기는 1, 시간도 1입니다.>

 

<전구로 알아보는 전기 상식 2. 건전지 2개를 직렬연결해서 전구 1개를 켜면 밝기는 2, 시간은 1입니다.>

 

<전구로 알아보는 전기 상식 3. 건전지 2개를 병렬연결해서 전구 1개를 켜면 밝기는 1, 시간은 2가 됩니다>

 

이 그림이 의미하는 바는 Cell이 직렬연결되면 전압은 올라가 세지고 병렬연결하게 되면 전류량이 늘어 오래간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노트북은 1개의 Cell이 뿜어내는 전압보다 더 큰 전압을 요구하기 때문에 직렬연결이 필수 이기에 보통 3~4개의 Cell을 직렬연결합니다.

 

<전구로 알아보는 전기 상식 4. P420은 대충 이런 방식이 되겠지요.>

 

노트북 살 때 배터리 용량 계산 정확하게 해 보고 구매하세요. Cell이 무조건 많다고 정말 오래가는 배터리가 아닙니다.

반응형